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CSS] Animation, @keyframes
    Project/kakao-clone-v2 2019. 11. 20. 15:04

    Animation

    CSS3에서는 animation 속성을 사용하여 요소의 현재 스타일을 다른 스타일로 천천히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Animation 속성

    • animation : 모든 animation 속성을 이용한 스타일을 한 줄에 설정할 수 있음
    • animation-name : 애니메이션 효과의 이름 설정
    • animation-duration : 애니메이션 효과를 재생할 시간 설정
    • animation-delay : 애니메이션 효과가 나타나기까지의 지연시간 설정
    • animation-iteration-count : 애니메이션 효과가 몇 번 반복될지를 설정
    • animation-direction : 애니메이션의 진행 방향을 설정
    • animation-timing-function : 애니메이션 효과의 속도 곡선을 설정
    • animation-fill mode : 애니메이션 효과가 재생 중이 아닐 때 요소의 스타일을 설정
    • animation-play-state 애니메이션 효과의 재생 상태를 설정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@keyframes

    CSS3에서 애니메이션 효과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애니메이션에 대한 키 프레임(keyframe)을 정의해야 합니다.

    키 프레임(keyframe)에는 특정한 시간에 해당 요소가 가져야 할 CSS 스타일을 명시합니다.

     

    @keyframes 규칙 안에 이렇게 CSS 스타일을 설정해 놓으면, 해당 요소의 스타일은 특정 시간까지 현재 스타일에서 설정해 놓은 새로운 스타일로 천천히 변화할 것입니다.

     

    애니메이션 효과가 동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animation-name 속성을 이용하여 요소와 키 프레임을 연결해 주어야 합니다.

     

    예제

    1
    2
    3
    4
    5
    6
    7
    8
    9
    10
    11
    12
    13
    14
    15
    /* The animation code */
    @keyframes example {
      from {background-color: red;}
      n {...}
      to {background-color: yellow;}
    }
     
    /* The element to apply the animation to */
    div {
      width: 100px;
      height: 100px;
      background-color: red;
      animation-name: example;
      animation-duration: 4s;
    }
    cs

     

    • example : 애니메이션의 이름을 정합니다.
    • 0% : 시작할 때의 모양을 정합니다. 0% 대신 from을 사용해도 됩니다.
    • n% : n%일 때의 모양을 정합니다.
    • 100% : 끝날 때의 모양을 정합니다. 100% 대신 to를 사용해도 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* 출처 : http://tcpschool.com/css/css3_transform_animation

     

    'Project > kakao-clone-v2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[CSS] z-index  (0) 2019.11.20
    [CSS]반응형 웹을 위한 Media Query  (0) 2019.11.20
    [CSS] Transition, Transform  (0) 2019.11.19
    [CSS] Combinators  (0) 2019.11.19
    pinterest, dribbble  (0) 2019.10.31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